메뉴 건너뛰기

쌍제이 807  공감:8 2025.06.02 22:09

2025년 현재 소규모 워치메이커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대 인스타그램 시대답게 당장 인스타그램만 보더라도 피드에선 그들의 작업 과정을 매일매일 볼 수 있으며, 해외 웹진도 심심할때마다 다루는 주제가 소규모 워치메이커이기도 합니다. 

 

소규모 워치메이커를 나누는 기준은 대부분 같을겁니다.

 

A: 무브먼트 제조와 피니싱을 직접 하는 경우

B: 일부 수정+피니싱을 직접 하는 경우

C: 둘 다 직접 하지 않는 경우

 

무브먼트를 직접 만들면서 피니싱을 직접 안하는 경우는 사실상 없고, C의 경우 마이크로 브랜드라고 불러도 되는 경우가 많으니 오늘은 B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B의 경우 근래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치열한 카테고리일겁니다. 동 가격대에선 경험할 수 없는 수준의 피니싱을 가성비 좋게 경험할 수 있는 카테고리니깐요. 당장 생각만 하더라도 Laine, Garrick의 엔트리 라인(현재는 6498라인업은 단종), Kudoke, Naoya Hida, Habring의 단순 쓰리 핸즈, Felipe Pikullik, 한국의 유민훈씨까지 줄줄이 나옵니다. 그런데 저기서 쓰는 무브먼트를 보면 다 비슷합니다. 가격도 대부분 만불~2만불 선에서 형성되는 것도 동일합니다. 해브링의 수정 정도가 제일 강하면서 가장 저렴하단건 아이러니지만요.

 

그렇다면 저 브랜드들은 왜 우리가 흔히 아는 ETA의 범용 무브먼트들을 쓰는걸까요? 한번 수동 심플 워치를 만들어본다고 가정하고 생각해보겠습니다. B의 가격대를 목표로, 사이즈는 대부분 유저들이 심플 드레스 워치로 선호하는 36mm 정도로 가정해보겠습니다.

 

1. 인하우스 무브먼트를 직접 만들기

이걸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우리가 제조하는 시계에 맞춰서 사이즈나 크기, 스펙도 모두 정할 수 있고, 내가 원하는 대로 브릿지 디자인까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방에서 모든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 제조한 인하우스 무브먼트를 만들고자 하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까요. 상상조차 하기 싫습니다.

 

2. 빈티지 무브먼트 사용

Kortela Valta(오메가 Cal.266)나 예전 Atelier de Chronometrie(오메가 266 & 283), Garrick의 현재 엔트리인 S7(Unitas 6425)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방식입니다.

 

수정됨_Atelier-de-Chronometrie-AdC-2-2.jpg

 

omega--283.jpg

 

셋 중 가장 비싼 AdC와 원본이 된 283을 보면 베이스 칼리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화려합니다. 거의 10년전에도 4만유로였던 시계니 당연할 수 있겠지만요...

 

여튼 신뢰성있는 설계를 가져와서 활용할 수 있지만, 단종된 무브먼트인 만큼 유지보수에 문제가 있거나 오래된 무브먼트답게 중간에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모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생산량에도 문제가 생기는 건 당연합니다.

 

안정적인 부품 수급을 위해서는 당연히 현행 무브먼트중에 골라야겠죠. 한번 대안을 찾아봅시다.

 

3. Chronode C101/102

 

수정됨_Chronode-C102-side-view.jpg

 

이제 점차 현실적인 선택지로 넘어오게 됩니다. 그래도 작정하고 만드는데 모양빠지게 다른 애들이랑 똑같이 에타를 쓸순 없잖아요?

우리가 유명한 워치메이커가 되려면 한참 시간이 걸릴테니 유명한 워치메이커의 무브먼트를 써봅시다. 무려 업계 유명인들만 참여했다는 해리 윈스턴의 오푸스 프로젝트에도 당당히 이름을 내걸고, MB&F, 우르반 위르겐센의 무브먼트 제작에도 참여한 장 프랑수아 모종의 크로노드에서 만든 물건입니다. 그만큼 메이저 브랜드는 물론, (B 기준) 고가의 소규모 워치메이커들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무브먼트이기도 합니다.

 

수동 버전인 C101은 무브먼트 직경도 31mm, 두께는 4mm입니다. 36mm 케이스에 넣으면 무브먼트도 나름 꽉 차면서 브릿지의 깊이감도 살릴 수 있는 정말 좋은 옵션이 되겠습니다. 심지어 프리스프렁 옵션까지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MOQ는 10개, 개당 가격은 1370chf(약 230만원)입니다. 무브먼트 하나에만 생각보다 큰 금액이 들어가는 것이죠. 여기에 피니싱까지 손으로 한다면... 인건비가 더 드는 것을 감안하면 우리가 쓸 물건은 못되겠습니다. 케이스와 다이얼에서 원가절감을 한다면 이걸 쓰는 의미도 없어질테니까요.

 

4. LTM 5050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LTM 5050 스켈레톤 버전; LTM 1000, 기계식, 수동 와인딩; LTM 5150, 자동; LTM 2000, 기계식, 수동 와인딩; LTM 5050, 기계식, 수동 와인딩.

(중앙의 로터 없는 친구가 5050입니다.)

 

이번에는 Le Temps Manufactures의 수동 칼리버 5050입니다. 스펙은 직경 30mm, 두께 3.3mm로 아주 훌륭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밸런스가 큰 저진동을 선호하지만(5050은 4Hz), 그래도 꽉 찬 무브먼트를 볼 수 있는 사양입니다. 스위스메이드? 당연합니다. 연간 생산량도 n00개라 힙스터 감성까지 충족합니다. 근데 어떤게 문제일까요? 바로 개당 2000chf(약 330만원)가 넘는 가격입니다. 바로 다음 타자를 알아봅시다.

 

5. OISA 29-50

 ponteunico-1.webp

 

이태리의 무브먼트 제조사 OISA에서 내놓은 29-50입니다. 직경 29.5mm, 두께 3.5mm, 파르미지아니의 보쉐 산하에서 밸런스, 이스케이프먼트, 헤어스프링, 기어트레인 등을 만드는 아토칼파에서 만든 밸런스 휠, KIF Parechoc의 내진장치까지 스펙은 흠잡을 곳 없습니다. 브릿지 디자인도 사진처럼 3/4플레이드 디자인을 제공하니 톱질만 잘하면 차별화하는데는 문제 없겠습니다. 골드나 루테늄 도금까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으니 편하긴 할거같습니다. MOQ는 10개, 가격은 855유로(약 130만원)입니다.

 

정말 완벽해보입니다. 곧 소규모 워치메이커들이 우후죽순 쓸 게 눈에 선합니다. 하지만 이태리 무브먼트라...적어도 제가 먼저 사용해서 검증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6. LJP 7380

 

수정됨_Ralph-Lauren-Polo-Vintage-67_02-compress.jpg

 

폴로 랄프로렌에서 사용한 무브먼트로 익숙한 그 친구입니다. 직경 30mm에 2.7mm로 크기도 좋습니다. OISA와 달리 스위스 메이드인 것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LJP의 문제는 MOQ가 n00개 단위라는 겁니다. 다음 타자로 넘어갑시다.

 

7. 셀리타 AMT

 

이왕 이렇게 된 김에 요즘 핫한 AMT에서 우리 입맛대로 제조를 해봅시다. 벌써부터 뒤포 맛을 만들지, 로저 스미스 맛을 만들지 군침이 돕니다. 

 

"We apply a minimum order quantity (MOQ) of 1,000 movements per order."

 

LJP보다 한술 더뜹니다. 다음 타자로 넘어갑니다.

 

8. ETA

 

Look from back!#watch #watchmaker #indiewatch #watchmaking #carvedpiece #anglage #snailing #mechanicalwatch #independentwatchmaking #independentwatchmaker #watches #wristwatch #machining #uhr #uhrmacher #design #ar.jpg

-가장 최근 버전의 유민훈 7001.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서 놀랐습니다.

https://calibercorner.com/minhoon-yoo-carved-piece/

  Habring2 A11 - 10th Anniversary Inhouse Calibre

리차드 해브링의 7750 수정 A11. 쿠도케도 해브링에게 무브먼트를 받아다가 사용합니다.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하고 ETA로 넘어왔습니다. 6498은 37.2mm이기에 사용할 수 없으니 이제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합니다.

  1. 7001을 사용한다.
  2. 7750을 수정해 사용한다. 

첫 번째 선택지의 경우, 수정하는 비용이 없기에 브릿지를 새롭게 제작해 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레귤레이터나 클릭같은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하지만 23.3mm의 직경과 2.5mm라는 두께때문에 보는 맛이 줄어든다는 문제점도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두 번째 선택지의 경우, 30mm에 수정시 4mm대라는 보는 맛이 좋은 무브먼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정 자체가 기능상 문제가 될 수 있음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전자를 선택한게 유민훈씨와 라이네입니다. 유민훈씨는 클릭을 화려하게 수정하고 저먼 실버로 브릿지 포함 부품 일부를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수정됨_laine-p37-movement-caseback.jpg.jpg

 

라이네는 반대로 클릭을 그대로 두었지만, 역시 브릿지를 새롭게 제작하고 기요셰 머신으로 꾸몄습니다. 눈길이 자연스럽게 가게 만드는 콕은 덤이구요. 하지만 둘 다 무브먼트의 크기면에서 아쉬운 것은 사실입니다.

 

이제 7750을 봅시다.

 

수정됨_Kaliber1_engraved_Image-scaled.jpg

 

7750을 박은 걸 보니 사이즈부터 가슴이 편안해집니다. 그런데 누가 수정해줄까요? 스테판 쿠도케는 아내분의 인맥으로 해결(마리아 해브링과 이브 쿠도케가 친함)했지만, 우리는 벌써 막막합니다. 그래도 대 AI시대니 GPT가 해주지 않을까요?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기존에는 7001이 대세였지만, 근래에는 7750을 쓰는 워치메이커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언급한 해브링과 쿠도케, 나오야 히다는 물론 요즘 핫한 워치메이커 라울 파게스도 마세나 랩과 콜라보할때 사용한 것이 7750일 정도니까요.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B에 해당하는 워치메이커들이 섣불리 인하우스 무브먼트는 물론 크로노드조차 사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브먼트 가격만 따졌지만, 무브먼트 비용이 전부가 아니거든요. 브릿지도 새로 만들어야되고, 케이스, 다이얼까지...벌써 복잡합니다. 당장 크로노드를 사용하는 브랜드들의 가격만 봐도 B에서 벗어나는 것이 대다수고, 인하우스 무브먼트에 도전하는 순간 B에 있을 필요성도 못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DSC_0065.JPG

 

DSC_0072_01.JPG

 

사실 사진찍다가 푸조따리 잘나와서 썼는데 전혀 상관없는 내용이

 

정답은 고민없이 A사면 되는데 제 지갑이 죄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공감 수 조회 수 날짜
공지 타임포럼 영상홍보(20250620업데이트) [3] 토리노 3 6671 2024.08.30
공지 글쓰기 에디터 수정 및 새로운 기능 안내 [11] 타임포럼 9 9633 2022.03.21
공지 추천, 비추천 시스템 개편에 관한 공지 [15] 타임포럼 23 9365 2021.06.28
공지 사이트 기능 및 이용가이드 (장터, 이미지삽입, 등업, 포인트 취득 및 가감, 비디오삽입, 알람 등) [11] TF테스터 384 610703 2015.02.02
Hot LEDERER의 CIC concept과 Cal.9012에 대해.... [12] 긍정왕! 8 1345 2025.06.07
Hot 내게 시계는 어떤 존재/의미인가? [5] klakis 1 2031 2025.04.28
Hot 식구들 시계 하나씩 맞췄습니다 [3] 진홍눈동자 3 13169 2025.04.23
Hot 명품시장 전망 [15] Energico 3 1288 2025.01.24
32803 저도 홋카이도 다녀왔습니다... [12] file 타치코마 2 264 2025.06.13
32802 도쿄에서 어딜 가야될까요 [9] file 쌍제이 0 244 2025.06.13
32801 생일상.... file 토리노 0 133 2025.06.12
32800 시간의명장 다큐 [2] Dandy123 0 154 2025.06.11
32799 아직 홋카이도 입니다 🌝 [8] file 현승시계 2 164 2025.06.10
32798 홋카이도 여행중입니다. [14] file 현승시계 3 195 2025.06.08
32797 LEDERER의 CIC concept과 Cal.9012에 대해.... [12] file 긍정왕! 8 1345 2025.06.07
32796 날씨가 엄청 좋네요 [1] 난수 0 67 2025.06.05
32795 와우 시계들 장난 아니심 [2] 쥴리샵 0 277 2025.06.04
» 소규모 워치메이킹의 어려움 (무브먼트) [11] file 쌍제이 8 807 2025.06.02
32793 와이프와 아들이 친정에 갔습니다...+ FF 38mm [18] 광주시계초보 2 323 2025.05.30
32792 시구의 완성은... [3] file 토리노 0 217 2025.05.28
32791 롤렉스 A/S 후기 입니다 [1] 목표는로렉스 1 326 2025.05.27
32790 시계 수리 기술을 배워보고 싶습니다. [4] 다크마이트 0 311 2025.05.26
32789 기계식 무브먼트 대량생산 [1] Energico 1 187 2025.05.26
32788 아.. 이제 여름이 다된거 같네요. [3] 성재짱 0 92 2025.05.25
32787 손목시계 도시 괴담 시리즈 – 온도 [10] file 클래식컬 4 287 2025.05.24
32786 [인천시계수리후기ㅠㅠ]사설 수리 문제점 정보 공유 [5] LeeBruce 0 274 2025.05.23
32785 팔기는 아깝고 가지고 있기에는 컬렉터가 아닌 시계는 어떻게 하죠 ㅠ [2] superKD 0 183 2025.05.23
32784 쿼츠 시계로 정리해야 하나... [2] 파아란섬 0 229 2025.05.20
32783 [펌글] 가학플레이 file 타이거우드 0 188 2025.05.19
32782 중고로 파는것도 머리아프네요 [6] 썹케 1 287 2025.05.17
32781 회원정보 수정문의드립니다. [1] 이승수 0 83 2025.05.15
32780 론진의 신작들이 유출되었습니다! [17] file 긍정왕! 4 607 2025.05.13
32779 해외 IP 막혔나요? 홍콩에서 타포에 접속이 안 됩니다. [7] 홍콩갑부 0 207 2025.05.12
32778 손목시계 도시 괴담 시리즈 - 방수 3편 [20] file 클래식컬 5 354 2025.05.12
32777 가입인사합니다 모빅킴 0 52 2025.05.09
32776 대통령 시계... [2] Energico 0 186 2025.05.09
32775 병원 갔던 친구들이 돌아왔네요! ㅋㅋ [7] file 긍정왕! 2 269 2025.05.08
32774 서비스 시계들 (위블로, LIP, 랑에) [13] file 쌍제이 8 798 2025.05.04
32773 몇년 만인지 모르겠습니다 [6] file 동현부 3 227 2025.05.04
32772 리자드 스트랩의 매력 [11] file 긍정왕! 2 229 2025.05.04
32771 오랜만에 시계 찼읍니다 [4] file drystan 2 211 2025.05.03
32770 98만원짜리 무료 체험, 참신하네 [2] file 요즘어른 0 261 2025.05.02
32769 극과 극은 (어쨋든) 통하는가. [19] file 믓시엘 4 342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