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어떤 원리일까? Independent
알라롱님을 기대했건만 더 이상의 자료가 없으시다니, ㅠ.ㅠ
설명해주신 내용과 구글링하면 바로 뜨는 자료들을 가지고 추정해보는 수밖에 없네요.
<참고 사이트>
제가 보기에 센티그라프 1/100초 카운트 구조는 JLC의 Duometre의 1/6초 카운트 구조의 판박이라는 생각이 됩니다.
일단 듀오미터를 살펴보지요.

시계와 크로노 태엽이 따로 있고 윤열도 시계용과 크로노용이 따로 있습니다.
하지만 이스케이프 위일과 밸런스는 공유를 하게되어 있지요.
두장의 기어로 구성된 이스케이프 위일 중 상어지느러미같이 생긴 크로노용 기어는 잇수가
일반 시계용 이스케이프 위일보다 많으므로 크로노 1/6초 위일과 연동하여 1/6초를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듀오미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로 고고싱~
그럼 센티그라프는 어떤지 알아볼까요?
JLC와 마찬가지로 시계 윤열(빨간색)과 크로노 윤열(파란색)이 각각 있고,

두장의 이스케이프 위일을 사용하며 크로노 이스케이프 위일의 상어지느러미 톱니 모양도 동일합니다.



1/100초 위일은 크로노용 이스케이프 위일과 연동하여 움직이는데,
이것도 듀오미터의 1/6초 위일 경우와 원리가 같습니다.
그러면 JLC에서 못하는 1/100초 계측 기능을 어떻게 하는 걸까요?
센티그라프와 듀오미터의 크로노용 이스케이프 위일 이빨을 비교하면
센티그라프의 이빨 크기가 좀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센티그라프의 경우 기어비가 좀 더 큽니다.
그런데 기어비 하나로 1/6초와 1/100초가 결정된다는 것은 좀 이상합니다. 그렇죠?
ㅎㅎㅎ 맞습니다. 다른 이유가 더 있죠.
사실 센티그라프의 1/100초 위일은 듀오미터의 개념으로 보면 1/16초 위일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그러다면 폴 쥬른이 사기를? 사기까지는 아니지만... 제가 보기엔 눈가리고 아웅정도? ㅎㅎㅎ
듀오미터와 센티그라프는 크로노그라프 동작을 위해 동력을 붙혔다 끊었다 해주는 클러치 기구가 다릅니다.
듀오미터는 특수한 구조의 1/6초 위일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클러치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크로노 동작을 합니다.
대신에 1/6초 위일이 1/6초 단위의 눈금에서만 정지하게 되지요.
센티그라프는 일반적인 컬럼 위일을 이용하여 1/100초 위일을 수직으로 이동시켜서
이스케이프 위일과 연결하였다 끊었다 하여 크로노 동작을 합니다.
그리고 동력 연결을 끊는 것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걸면 1/16 눈금 이외의 장소에서도 정지가 가능하여
마치 1/100초까지 계측이 가능한 것처럼 눈속임을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고속 카메라로 1/100초침을 찍으면 1/16초마다 단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가 있답니다.
필요도 없는 1/100초 기능에 정확하지도 않은 1/100초 계측... 거기에 눈물겨운 디자인... ㅎㅎㅎ
(폴 쥬른 좋아하는 사람들 저 때리러 올까 겁납니다. ^_^)
한가지 덧붙이자면 앞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듀오미터에는 크로노 태엽과 일반 시계 태엽이 따로 들어있습니다.
센티그라프는 태엽이 하나입니다.
시계 윤열은 일반 시계들과 동일하게 태엽이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태엽통에 나있는 기어가 구동합니다.
하지만 크로노 윤열은 신기하게도 태엽 아버(줏대)가 구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태엽 줏대는 레칫 위일로 태엽을 감을 때에만 사용을 하고,
클릭 스프링으로 풀리지는 못하게 되어있는데 크로노 동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모양입니다.
따라서 시계만 동작시에는 파워 리저브가 60시간이지만,
크로노가 구동하면 파워 리저브가 반, 30시간으로 줄어든답니다.
끝.
댓글 22
-
저는 이제...클래식님이 무섭습니다!!! ^^*
-
곰님
2007.08.29 23:11
두려워 하실필요 없습니다. 클래식님이 적으로만 돌아서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면 적으로 돌아서는 걸까나 ;;;)
앞장서서 몹을 잡아주시는 클래식님이 있으니 우리는 뒤에서 조용히 따라갈 수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ㅋㅋㅋ 클래식님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굽신굽신) -
앗. 철콘구조보다 더 어렵다는 시계구조@_@ ㄷㄷㄷ
-
cr4213r
2007.08.30 00:52
선리플 후정독! ^^ -
지노
2007.08.30 02:57
이건 좀 맑은 정신에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
만두
2007.08.30 08:56
확실히 시계구조는 어렵지만
흑백 구조사진이 저이게 한가닥 희망을 주는 것 같습니다....;;;; -
자자 우리는 클래식님 뒤에 따라다니면서 클래식님이 쓸어버린 몹들의 아이템만 주워 챙기면 되는겁니다 ㅋㅋ
-
우허허헐. 클래식님. 완소입니다.
21,600 진동짜리 시계가 1/100초를 표현하는것에 대해서 저는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지 몰라서 클래식님과 씨알님에게 떠넘긴 것이습니다. (푸헐) 동영상을 봐도 1/100초 바늘은 거의 같은 위치에서 단속적으로 움직이더군요. (폴 쥬른 이 양반이 Foudryante를 잘 만든기도 하고요) 정말 알기 쉽고 머리에 쏙쏙 들어오게 명해주셔서 정말 감사 & 덜덜덜 할 따름입니다. 굽신굽신. (_ _)
앞으로 이런일 있으면 계속 떠넘겨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허허허허허. -
클래식
2007.08.30 11:05
알라롱님! 제가 쓴 내용 잘 안읽어보셨죠? 다시 반복합니다. ㅎㅎㅎ
필요도 없는 1/100초 기능에 정확하지도 않은 1/100초 계측... 거기에 눈물겨운 디자인... ㅎㅎㅎ
(폴 쥬른 좋아하는 사람들 저 때리러 올까 겁납니다. ^_^) -
Kairos
2007.08.30 11:29
^_^;;;; 전 그냥 이제 클래식님 그림자 밑에서 살고 싶어라...... ㅎㅎㅎㅎ 이 맛에 시계를 자꾸 들여다 보는거 같습니다!! 이맛이여!! ㅎㅎ -
우헐헐헐. 제가 얼마나 꼼꼼히 읽었는데요. 태그 호이어 칼리버 360 도 1/100초 측정의 신뢰도는 2분 내외라고 알고 있습니다. 21,600 진동의 센티그라프가 1/100초를 제대로 측정하기는 어려울거라 생각은 했습니다. 사기틱하지만 그 발상에 대해서 저는 80점 정도 주고 싶습니다. 또 사기틱한 대신 가격은 나름 저렴하거든요. 껄껄.
-
항상 느끼지만, 대단하십니다....
-
bottomline
2007.08.30 18:33
클래식님은 행복하시겠어요~~~~~~~~~~~~~~~~~~~~~~~~~~ ^&^ -
읽긴 읽었는데...........전 아직 댓글달 실력도 못되네요,,ㅎㅎ 잘읽었습니다,,^^
-
red4800
2007.09.01 19:49
1/6초 움직임으로 어떻게 1/16초의 계측이 가능한지요?
1/100초는 물론 눈속임이라는 것 이해가 가는데요...
이건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어기는 것만 같은..........^^ -
클래식
2007.09.01 23:23
1/6초와 1/16초 계측의 차이는 이스케이프 위일과 1/x초 위일사이 기어비가 다르기 때문일 겁니다. 1/16초을 위한 센티그라프가 1/6초 듀오미터보다 기어비가 16/6배만큼 더 크겠지요. -
훼인
2009.04.29 10:36
시계 메이커는 너무너무 많은것 같아요 ㅠㅎㅎ -
선리플 후 정독 ㅋㅋ
-
어허허.. 이건 뭐..;;
-
와우.. 딴세계에 사시는 분같네요
-
위하여
2011.10.27 16:21
아무래도 공력을 더 쌓고다시 봐야 할것 같네요 ^^
-
아주 이해가 어렵습니다..멋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