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질문은 TF지식인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게시판

Hot 게시글은 조회수1000 or 추천수10 or 댓글25 이상 게시물을 최근순으로 최대4개까지 출력됩니다. (타 게시판 동일)
Jason456 4081 2012.07.03 11:02

저는 현재 미국에 있고, 예전에는 유럽에서 일을 했었습니다.

서양인들은 아무래도 한국인들보다 체격이 크지요...

사실 키는 동양인과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고, 다른 점이라면 190 이상의 거대한 사람들이 심심치 않게 있다는 점입니다.

제가 183cm인데 어느 곳에서나 상당히 큰 편이거든요.

 

그러나...두께 면에서는 차이가 상당합니다.

제가 원체 살이 별로 없고 뼈대만 큰 스타일이어서 더하겠지만, 80kg인 제 몸은 서구인들에 비하면 너무 가냘픕니다.

전체적인 몸통 두께가 동양인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서두가 길었군요...

제가 몸 사이즈에 관해 길게 설명을 한 것은 시계 사이즈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제가 주로 차는 시계들은 '브레게 라 트라디션 37mm', 위블로 '빅뱅 44mm'와 35mm의 브레게 드레스워치입니다.

제 백인 친구들은 빅뱅을 대부분 '흑인 스타일'이라 생각합니다.

라 트라디션은 친하게 지내는 뉴욕 매장 점원이 '일본인, 중국인이 좋아하는 스타일'이라 말하더군요.

 

빅뱅을 얹어도 과하지 않게 보이는 팔목을 가진 서양인 친구들 대부분이 선호하는 스타일은 바로 35mm 브레게이며, 그들도 대부분 그런 시계를 차고 다닙니다.

어떻게 보면 시계가 너무 조그맣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수트에 큰 시계를 차는 것은 선호하지 않더라구요.

 

그런데 얼마 전 한국에서 온 친구와 오랜만에 만났는데, '시계가 너무 작아 촌스러워 보인다' 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브레게에서는 35~38mm 의 시계들이 일반적인 사이즈인데 제 친구에게는 너무 작아 보인다네요.

더구나 서양 친구들이 찬 시계는 너무 조그맣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제 눈에는 오히려 작은 몸의 그 친구가 브라이틀링의 큰 시계를 찬 것이 이상해 보였습니다.

 

시계 사이즈에 대한 정답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의 패션 시계들이 40mm 이상으로 나오는 추세여서 그런지 작은(사실 드레스워치로는 일반적인) 사이즈의 매력을 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작은 케이스 안에 장인의 크래프트맨쉽이 녹아들어간 멋진 시계들에 대해 시계 매니아 분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공감 수 조회 수 날짜
공지 타임포럼 회원분들을 위한 신라면세점의 특별한 혜택 [5] 타임포럼 4 187 2024.06.10
공지 글쓰기 에디터 수정 및 새로운 기능 안내 [10] 타임포럼 9 2795 2022.03.21
공지 추천, 비추천 시스템 개편에 관한 공지 [13] 타임포럼 21 2509 2021.06.28
공지 사이트 기능 및 이용가이드 (장터, 이미지삽입, 등업, 포인트 취득 및 가감, 비디오삽입, 알람 등) [11] TF테스터 381 594010 2015.02.02
Hot 2024년 2분기 타임포럼 정기 모임 포토 리포트 [28] 타치코마 12 476 2024.05.16
Hot 타임포럼 2024년 2분기 정기모임 참석 및 경품 추첨 후기 [21] 오메가이거 12 531 2024.05.15
Hot [신청 마감] 5월 14일(화), 타임포럼이 2024년 2번째 정기 모임을 진행합니다! [51] 타임포럼 4 940 2024.05.02
Hot 소더비 시계 경매 (홍콩) [5] Energico 1 1389 2024.03.28
2503 고가시계시장의 성장성에 관하여... [28] 낙무아이 0 3470 2010.01.01
2502 [주의] arena님, 토론방 공지사항 확인바랍니다. 클래식 0 2875 2010.01.04
2501 [주의] 라이님, 오토입문시기님은 토론방 공지사항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클래식 0 3046 2010.01.04
2500 커스텀시계에 대한 회원님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32] 니콜라스뤼섹 0 6702 2010.01.11
2499 와인더의 자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8] 커츠 0 5532 2010.01.16
2498 시계의 가장 훌륭한 기능에 대한 생각은 어떠신지요? [52] Pam Pan 0 3607 2010.01.19
2497 일상생활에서 시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요? [85] hr6271 0 4641 2010.01.21
2496 쿼츠와 기계식 [31] 얕은지식 0 5165 2010.02.03
2495 대한민국 시계 산업의 현 주소와, 그 성장 가능에서 대해 알고 싶습니다. [14] hr6271 0 3406 2010.02.13
2494 여기에 올려도 될것같아서 올립니다 ㅎ 검판 vs 흰판 [51] 퐁텐블로 0 17563 2010.02.24
2493 예물시계의 의미와 그 처분에 대하여 [42] 디엠지 0 8299 2010.02.24
2492 빈티지시계의 개념과 그 가치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13] nixon 0 4584 2010.02.25
2491 메탈 시계 줄 길이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54] 질샌더킹 0 63464 2010.02.26
2490 샤넬 시계인가 악세사리인가??? [92] ALEX777 0 6390 2010.03.07
2489 시계 크기는 얼마까지 커질 것인가? [70] Obama 0 7317 2010.03.07
2488 쿼츠와 기계식의 끝없는 토론 [56] 왕대박맨 0 8585 2010.03.17
2487 "정당한 유통과정" 이란? [22] 미터 0 3998 2010.03.18
2486 A/S 의 정의와 가격 책정에 관한 주제로 의견을 구합니다...^^ [12] Pam Pan 0 3360 2010.03.22
2485 접촉사고로 인한 시계의 기스... 여러분의 판단은...? [72] kingbomb 0 5189 2010.03.23
2484 유행에 관하여.. [47] 마운틴 0 3215 201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