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번 글을 기고해주시는 저희 상무님의 다양한 상식에 일주일에 한번 오는 메일이 기다려지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예전에 보내주신 글 중에 일본에서 참치가 대중화된 기원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한 메일을 소개드릴까 합니다.

 

어제는 오랜간만에 지인들과 참치 머리회를 먹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잘 아는 후배가 하는 집이라서 참다랑어 머리의 아가미살, 뽈살, 뒤통수살, 눈살을 부위별로 정말 저렴하게 맞보는 호사를 하고 왔습니다. 특히 참치의 눈물주는 콜라겐이 많아서 피부미용에 좋다고 많이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참치회는 일본인이나 우리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좋은 음식중의 하나입니다. 특히, 오도로라는 하는 참치의 뱃살로 먹는 Sushi는 입에서 살살 녹습니다. 일본어 도로의 의미가 혀에서 살살 녹는다는 뜻이라네요. 생각난김에 참치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

 

일본사람들에게는 참치가 1970년대까지만 해도 그다지 인기있는 횟감이나 Sushi의 재료는 아니었습니다. 도미류의 생선이 인기가 좋았지요. 그런데, 참치가 Sushi의 인기재료가 된 데에는 Japan Airline (JAL)의 역할이 컸습니다. 2차대전 후 일본의 수출제조업에 집중을 하면서 도쿄에서 북미 항공노선은 일본발 전자제품 등의 cargo 수요로 사업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북미에서 일본으로 돌아오는 Cargo는 텅 비어 오기가 일쑤였다고 합니다. 일본 항공의 화물사업팀은 고민을 했고 새로운 사업의 하나로 북대서양에 잡히는 참치를 냉동상태로 일본으로 공수해오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북미에서는 참치잡이는 일부 매니아 낚시군이 좋아하는 일종의 스포츠였지 식용으로는 쓰이지 않는 상태에서 JAL은 어촌과 협약을 맺고 참치를 냉동 처리하여 도쿄로 24시간내에 공수를 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합니다. 과정 속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후에 일본에 북대서양 참치가 수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은 일본인들의 끈기, 치밀함, 연구정신 등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그 이후 참치는 일본내에서 북해도와 북대서양산 자연산과 스페인, 멕시코 근해의 Ranch에서 재배된 것으로 다변화되면서 Tuna의 대중화가 이루어 졌습니다.

 

특히 도로(Toro)라는 뱃살 부위는 사실 일본인들이 지방이 많다는 이유로 먹기를 꺼렸기에 고양이에게나 주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2차대전 패망 후 미군정이 시작된 후 1960년대에 미국식 스테이크가 인기를 끌면서 일본인들이 지방이 포함된 육류의 맛을 알게 되었고 고양이에게나 주던 참치 뱃살을 즐기기 시작했다고 하니 고양이들이 불쌍하게 되었네요.

 

고양이들이 먹던 부위가 그렇게 비싸질 줄이야 누가 알았겠습니까?

좋은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

몰타참치가 가고 싶어지는 하루 입니다..

 

저작권 또는 기타 문제 발생 시 삭제토록 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감 수
공지 ROLEX FAQ [355] Kairos 2010.11.24 40308 68
공지 ROLEX Movement list [242] 타치코마 2010.05.14 34315 27
공지 ROLEX 시리얼넘버 정리 [828] 소고 2009.07.29 93076 187
Hot 14060 서브마리너를 들이게 되었습니다~! [25] 기무라타쿠야2 2024.05.26 560 4
Hot 신형 세라토나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역시 흰판이겠지요? [23] 홍콩갑부 2024.05.17 1664 2
Hot 자랑질^^ 요즘 기추하고 싶은 모델이 없어 이걸로 했습니다. [38] 홍콩갑부 2024.05.13 990 8
Hot 단종소식에 급하게 기추했습니다 [12] 브리죠 2024.05.13 5248 1
236 무더위 건강들 조심하셔요 !! [2] 군무수 2011.08.07 67 0
235 가격인상 [16] mpower78 2011.08.07 910 0
234 시계편력+ 구서브 득템 신고 + 가족샷입니다. [13] file 날자날자 2011.08.07 553 0
233 데이토나 or 서브마리너 vs 파네라이(233 or 270) 질문 [30] 가슴뭉클 2011.08.06 542 0
232 평생 시계를 하나만 차야한다면 어떤걸 고르실런지요 [29] 악동키드 2011.08.06 632 0
231 머리털 나고 크게 돈써 봤네요 [45] file tlee 2011.08.05 1088 3
230 멋쟁이들의 시계 [12] file 쏘피스트 2011.08.04 882 0
229 이태리 남자들의 로렉스 ^-^;; [23] file 위스키 2011.08.04 1075 0
228 데이토나스틸 VS 서브스틸 [20] 리영춘 2011.08.03 565 0
227 마지막 고민입니다...로렉고수님들의 의견은 어떠하신지여.. [12] file 호호맨 2011.08.03 426 0
226 AP가 아른아른.. [11] 샌드 2011.08.01 448 0
225 로렉스 생산년도 알아보는 방법.. [15] file 우주인 2011.07.31 596 0
224 역삼동 로렉스 C/S 센터 방문후기~! (업데이트:미국통화후!!) [21] file 발킬 2011.07.28 909 0
223 처음 시작은?? [19] choson 2011.07.28 320 0
222 해외 몇군데의 C/S 센터 사용 후기. [8] 써니_썬 2011.07.27 414 0
221 여기다 올리는게 맞는지모르겠는데 ^^;; TUDOR vs OMEGA SEAMASTER [12] 발킬 2011.07.27 593 0
220 헐~~~롤렉스 [25] 컬렉터 2011.07.26 1135 1
219 OYSTER PERPETUAL 시계입니다. [5] file 해피맨 2011.07.26 495 0
218 해외출국시 시계 신고하고 가시나요? [13] 비머렉스 2011.07.26 862 0
217 자랑좀 할께요~~~~^^ [25] file 최강하록 2011.07.24 85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