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파텍 필립 칼라트라바는 조금 특이한 시계입니다.

브랜드 내에서 엔트리 위치에 있는 시계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아이코닉한 시계죠.

그래서 파텍 필립의 브랜드 이미지를 설명할 때, '드레스 워치인 칼라트라바부터, 컴플리케이션까지 모든 종류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올라운드 플레이어'라는 말이 있더군요.

(예전에 상상님께서 하신 말씀으로 기억하는데,  많이 공감해서 한 번 언급해봅니다. ^^;)


PP의 Ref. 번호는 몇 가지 규칙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한 가지는 비슷한 번호는 비슷한 디자인이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96-5196-5296 으로 이어지는 원형-직선의 디자인과, 5107-5127-5227로 이어지는 곡선이 강조된 디자인입니다.





1_96.jpg



<1932년, 최초의 칼라트라바 Ref. 96>


PP가 Stern Family에 인수된 그 해인, 1932년에 발표된 첫 번째 칼라트라바입니다. 

사진을 보면 세월의 흔적으로 다이얼에는 사용감이 많이 발생하였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은 현행 모델들과 거의 동일합니다.

31mm의 크기이며, 지금까지도 얇은 시계의 기준인 9mm의 두께, 그리고 PP 자사 Cal. 12-400을 사용하였습니다. 






2_5107.jpg



<좀 더 곡선이 강조된 Ref. 5107>


Ref. 96부터 이어진 원형-직선의 칼라트라바와는 다르게, 케이스에 부드러운 곡선(Fluidic sculpture?)이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케이스 옆면-러그로 이어지는 부분에 직선이 전혀 사용되지 않고, 곡선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베젤은 플랫하여, 약간의 직선 느낌이 남아있습니다.






3_5107.jpg



이 사진에는 베젤의 편평함이 잘 드러나네요.

그래서 해외 리뷰를 보면, 실착시 5127에 비해 조금 납작한 느낌이 있다고도 하더군요. ^^;

무브먼트는 PP Cal. 315 SC가 사용되었습니다.






4_5127.jpg


<베젤까지 곡선이 사용된 Ref. 5127>


케이스 크기는 37mm로 5107과 동일하며, 전체적인 디자인 역시 거의 동일합니다.

단지 5107의 flat 베젤과는 다르게, 곡선형 (convex) 베젤이 사용되어 더욱 우아한 느낌입니다.








5_5127.jpg



이 사진에는 곡선의 베젤이 잘 드러나네요. 덕분에 5107보다는 편평한 느낌이 덜합니다.

무브먼트는 초기형은 5107과 동일한 PP 자사 Cal. 315 SC, 후기형 (PP Seal이 사용된 시기 전후)은 PP Cal. 324 SC가 사용되었습니다.

(진동수가 21,600 에서 28,800으로 변경)





6_5196.jpg



<최초의 칼라트라바인 Ref. 96을 계승하는 Ref. 5196>


Ref. 96과 비교해보면 케이스 크기 (31mm vs 37mm) 외에는 거의 같은 시계가 아닌가 할 정도로 비슷한 느낌입니다.

Ref. 96의 완벽한 복각이라는 찬사도 있는 반면, 현재의 유행보다 너무 고전적이지 않나하는 아쉬움도 있다고 합니다. ^^;

무브먼트는 칼라트라바 수동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PP Cal. 215 PS가 사용되었습니다.






7_5296.JPG


<5196에 비해 좀 더 최신 유행(?)에 충실한 Ref. 5296>


크기가 38mm로 좀 더 커졌으며, 베젤이 약간 얇아지고, 5296G와 같이 철길 다이얼+리프 핸즈 모델도 제작하여 좀 더 캐주얼(?)한 시도도 있습니다.

무브먼트는 역시 자동 모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PP Cal. 324 SC 입니다.







8_5296.jpg


이 사진을 봐도, 참 잘 만든 시계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드레스 워치의 정석을 보여주네요.





9_5296.jpg


베젤이 얇아져서, 체감 크기는 좀 더 커보입니다.





10_5227s.jpg


<가장 모던한 칼라트라바, Ref. 5227>


소개한 내용 중에 가장 최근에 발표된 칼라트라바입니다.

케이스 크기가 39mm로 커졌으며, 동시에 베젤도 매우 얇아져서 실제 체감하는 크기는 더 큽니다.

그리고 다이얼의 Patek Philippe 글자도 전작들에 비해 더 크고 굵게 변경되었구요.

어떤 리뷰에서는 가장 aggressive(?)한 칼라트라바라고 하더군요. ^^;







11_5227.jpg


5127과 비교하면, 다소 얌전한 5127에 비해 눈에 확 띄는 디자인이기는 하네요. ^^;




12_5227.jpg


5107-5127-5227로 이어지면서, 역시 곡선의 케이스 디자인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곡선 러그의 미려함은 그대로네요.




13_5227.jpg


개인적으로 다이얼 컬러가 가장 마음에 듭니다.

칼라트라바 전 모델 (에나멜 제외) 중에 가장 미려한 다이얼 컬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



14_5227.jpg



이 시계의 특징 중에 하나는 헌터백이 사용된 것 입니다.

그동안의 칼라트라바와는 다르게 (물론 이전에도 몇몇 한정판에 헌터백이 사용되긴 했습니다) 확실히 현대적인 느낌을 주네요.





15_5227.jpg


베젤이 얇아서, 역시 체감 크기는 좀 커 보이네요. 위 사진의 손목도 18cm 정도는 되어보일 것 같습니다. ^^;





이제 사진을 몇 장 보시죠. ^^;



16.JPG


그 중에서 Ref. 5127 입니다. 이 녀석을 선택하기에 앞서, 마지막까지 5196, 5227과 고민하게 되더군요.

드레스 워치라면 약간의 절제가 필요하지 않나는 생각을 하면서, 5127을 선택했습니다.






17.JPG



케이스 전체적으로 곡선이 사용된 것이 참 이쁩니다.

특히 약간 대각선에서 시계를 바라보았을 때 곡선이 가장 강조되는 느낌입니다.






18.JPG



다이얼 컬러는 약간 아이보리 컬러에 가가운 색입니다.

에나멜처럼 순백의 화이트는 아니지만, YG 케이스와 잘 어울립니다.





19.JPG



그늘에 들어오면 조금 흰색에 가까운 컬러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색상도 참 좋아합니다. ^^;





20.JPG



5227에 비해 Patek Philippe 글자가 작지만, 약간의 절제된 느낌이 제 선택의 기준이라서, 만족합니다.






21.JPG



바깥쪽에 무반사코팅이 되어 있지 않아 빛에 반사되지만, 오히려 이런 것이 드레스 워치에는 맞지 않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




22.JPG



무브먼트는 PP Cal. 315 SC가 사용되었습니다.

PP Seal이 사용되기 이전에 제작된 모델이라서, 제네바 실이 보이네요.





23.JPG



무브먼트의 마감은 매우 잘 되어 있습니다.

페를라쥬, 앵글라쥬 역시 흠 잡을 곳이 없더군요.

RD, VC 에 이어 세 번째 경험해보는 제네바 실인데, 인증 기준이 꽤 높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4.JPG



핸즈 역시 야광은 전혀 사용되지 않고, 단지 반씩 나누어져있습니다.

덕분에 어느 각도의 빛에도 반짝이는 핸즈를 볼 수 있습니다.





25.JPG



개인적으로..5127의 단종은 참 아쉽습니다. 물론 5196/5227로 이어지는 현행 칼라트라바도 거의 완벽에 가까운 디자인이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져서 얇은 손목을 가진 사람에게는 선뜻 선택하기가 어렵더군요. 물론 5116/5119와 같은 약간 작은 수동 칼라트라바도 출시 중이지만, 저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gold-applied 인덱스가 더 이쁘더군요. ^^;


이상입니다. 편안한 오후 되세요~ 


참고리뷰

http://thewatchlounge.com/future-king-pre-owned-patek-philippe-calatrava-5127j-revisited/

http://www.fratellowatches.com/patek-philippe-calatrava-5127-when-i-am-old-and-wise/

http://www.watchprosite.com/?page=wf.forumpost&fi=11&ti=861658&pi=5860733

http://www.woundforlife.com/2014/07/30/hall-fame-patek-philippe-calatrava-965196/

http://www.patek.com/en/mens-watches/calatrava/5227G-001




26.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감 수
공지 [공지] 매크로 먼데이 [39] TIM 2014.03.07 5636 11
Hot [기추신고] Breguet Classique 7337 [32] 현승시계 2024.05.22 547 9
Hot 금주 시계모둠 🕑 [32] 현승시계 2024.04.27 1686 9
Hot 처음으로 직접 본 후지산 (with 5711) [28] m.kris 2024.04.20 653 4
Hot [스캔데이] 브레게 vs 바쉐론 [32] 현승시계 2024.04.19 2353 4
9062 국내 1호 득템! [55] file 예거듀오 2019.10.13 2632 15
9061 브레게 7137 청판 기추하였습니다. [33] file 석양 2020.07.13 1336 15
9060 [렙8기념포스팅][득템]] VC Historiques 트리플캘린더 1942 [41] file ClaudioKim 2022.04.08 999 15
9059 [기추소식] 랑에 1815 Thin 허니골드 [28] file TheCollector 2021.01.29 2477 15
9058 그 남자와 그 시계의 사정 [26] file mdoc 2023.07.15 1015 15
9057 올해의 마지막 기추.... 생의 첫 AP 엔트리 모델로 시작해 봅니다~ [48] file 홍콩갑부 2019.12.19 2160 15
9056 Historic Calibre [14] file mdoc 2021.04.18 841 15
9055 위블로 빅뱅 금통 [18] file vogue 2014.04.16 1907 15
9054 로얄오크 크로노 모델 정리 [25] file 플레이어13 2016.11.21 1777 15
9053 하이엔드 드레스워치를 찾아서 - 0. 들어가며 [34] file 김우측 2015.07.02 1524 15
9052 [스캔데이] AP15300과 AP26405ce [35] file 조이미미 2019.07.26 1393 15
9051 파텍 기추 긴 기다림의 끝은 스뎅~ [72] file 홍콩갑부 2020.08.20 2281 14
9050 홀리 트리니티 스포츠 스틸 컬렉션~ 노틸러스 아쿠아넛 로얄오크 [30] file 홍콩갑부 2021.10.27 1268 14
9049 Grand Exhibition : 파텍필립 in 싱가폴 [22] file 권오현 2019.09.30 1531 14
» Patek Philppe Calatrava, 전통과 디자인의 연속성 [37] file 시간의역사 2016.08.11 3000 14
9047 파텍필립 노틸러스 오버홀 1편 [35] file m.kris 2022.02.18 2509 14
9046 블랑팡 70주년 ACT3 를 데려 왔습니다 [41] file cromking 2023.10.30 1754 14
9045 랑에 삭소니아 씬 코퍼블루 구입했습니다 [27] file 양파절임 2023.10.06 1341 14
9044 Xmas 선물 개봉기 5167 [35] file XXIV 2020.12.27 1265 14
9043 ◀◀◀ 사기/도난 시계 문제 해결!! 꼭 읽어주세요!! ▶▶▶ [41] file barnage09 2013.03.19 160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