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번   역 : 최 혁 (salvia24@naver.com 
 
THE ZENITH CHRONOGRAPH CALIBER. 410  Part 1 by WALT ODETS
제니스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410 1부

 
 
제니스(Zenith)는 1865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진 회사로, 기술혁신과 좋은 품질의 시계들로 널리 인식되고 있습니다. 1967년에, 제니스는 자사의 논할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기술적인 성취를 지닌 칼리버 1724를 소개하였습니다. 이 무브먼트는 전통적인 오토매틱 와인딩(automatic winding)과 기어열(train wheel)의 대부분의 장치를 위한 플래너터리 기어셋(planetary gearset)으로 대체하였습니다. 그리고 기계식 시계의 기초적인 개념들을 바꾼 매우 드문 실험작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제니스를 최고로 알린 무브먼트는 1724가 아니라, 1969년에 나온 3019 PHC, 엘 프리메로(El Primero)로 알려진 무브먼트입니다.
 
 
엘 프리메로가 출시한 뒤에, 오토매틱 크로노그래프들 두 개의 장치들만이 아니라, 곧 완벽한 캘린더(3019 PHF)가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리고 시간당 36,000의 진동수로 “빠른 진동수”를 가집니다. 오늘날의 규격에 비추어보아도, 두께가 6.5mm인 상대적으로 납작한 무브먼트입니다. 엘 프리메로가 지름이 13.5 라인(ligne, 30mm)로 설계되었고, 31개의 보석으로 작동하며, 50시간의 파워 리저브(power reserve)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무브먼트를 현재는 칼리버 410으로 알고 있습니다.
 
 
윗쪽의 사진에선, 중심의 오토매틱 와인딩 로터(central automatic winding rotor)가 제거된 상태로, 오토매틱 와인딩(automatic winding, 1)과 칼럼 휠(coloumn wheel)과 같이 완벽한 크로노그래프 설계인 410을 볼 수 있습니다. 4번 휠 피니언(fourth wheel pinion, 3)과 크로노그래프 인터미디에이트 휠(chronograph intermediate wheel, 4)에 닿아있는 트랜스퍼 휠(transfer wheel)을 볼 수 있습니다. 410은 글루씨듀어 밸런스(Glucydur balance)와 니바록스 l 밸런스 스프링(Nivarox l balance spring, 5)를 사용합니다. 이 무브먼트는 일반적으로 기능적으로나 미적으로나 매우 괜찮은 마무리를 가졌고, 대량생산에서의 명백한 결점을 보입니다.
  
AUTOMATIC WINDING
 
 
410의 빠른 진동은 특별히 큰 메인스프링(mainspring)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이러한 큰 메인스프링은 오토매틱 와인딩에 효과적입니다. 볼 베어링(ball bearing)과 연결하는 매우 무거운 금속 중앙 로터(metal central rotor)와 클릭 휠 스위처(click wheel switcher)를 사용하는 바이디렉셔날 와인딩(bi-directional, 양방향 감기)을 통해 이 작용을 완성합니다. 사진에서, 와인딩 브릿지(winding bridge, 1), 로터를 통해 돌아가는 퍼스트 트랜스퍼 휠(first transfer wheel, 2)과 클릭 휠(click wheel, 3)이 보입니다. 삽인된 그림에서, 클릭 휠(3)은 스프링을 이용합니다. 전체 시스템은 로터(rotor, 1)에서 메인스프링 배럴(mainsprin barrel, 6)사이의 5개 부품으로 구성합니다. 추가된 리버징 휠(reversing wheel)이 (3)과 (4) 사이에 위치하지만, 여기선 보이지 않습니다.(이 휠은 로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작동합니다.) 제니스의 와인딩 시스템은 튼튼하고 괜찮게 만들어진듯 보이지만, 스프렁 클릭 휠(sprung click wheel)들은 때때로 오토매틱 와인딩 시스템의 약점이 되기도 합니다.
 
CHRONOGRAPH FUNCTIONS
 
 
칼리버 410은 크로노그래프 기능들을 위해 완벽하게 고전적인 칼럼 휠(column wheel)을 사용합니다. 위쪽 그림에서 (1) 칼럼 휠 이고, (2) 칼럼 휠을 돌리는 래칫 휠(rachet wheel)입니다. (3) 케이스 퍼셔(case puhser)들로 클릭을 작동하고, 래칫 휠을 돌립니다.(따라서 칼럼 휠도 돌리죠.)
 
제니스의 칼럼 휠의 위치가 변화하는 설계로 스위스 크로노그래프의 전통적인 형식을 따랐습니다. 이런 이유로 칼럼 휠 설계에서 유용한 가르침을 줍니다. 아래쪽은 칼럼 휠의 모습을 확대한 사진입니다.

 
칼럼 휠(1)과 함께, 모든 크로노그래프 스위치 레버(switch lever)들이 보입니다. 퍼셔 클릭(pusher click, 2)이 칼럼 휠을 회전시킬 때, 스프링은 조심스러운 위치로 칼럼 휠을 이동시킵니다. 레버(lever, 4)는 크로노그래프 인터미디에이트 휠(chronograph intermediate wheel)의 위치를 바꾸고, 4번 휠(fourth wheel)에서 크로노그래프 센터 휠(chronograph center wheel)을 떨어뜨립니다.(사진 아래쪽) 레버(lever, 5)는 미니트 어큐물레이터 휠(minute accumulator wheel)을 크로노그래프 센터 휠(chronograph center wheel)에 안쪽과 밖으로 접하게 변화고, 리셋 투 제로(reset to zero) 기능을 제공합니다. 레버(lever, 6)은 브레이크 레버(brake lever)를 바꿉니다. 칼럼 휠의 각각의 위치에서, 각 레버의 빅(beak, 부리)은 칼럼 휠의 끝 사이에 놓여있습니다.(인터미디에이트 휠 레버도 같이, 4) 따라서 따라서 시작하고(starting), 멈추고(stopping), 중단하고(breaking), 0점으로 초기상태로 되돌리는(reset) 기능들을 완성시키고, 완벽한 조화를 이룹니다.
 
SPECIFIC SWITCHING FUNCTIONS

 
사진에서 인터미디에이트 휠 레버(intermediate wheel lever, 2)가 보입니다. (3)번은 4번휠(fourth wheel)로부터 동력을 받는 트랜스퍼 휠(transfer wheel)을 가리킵니다. (5)번은 크로노그래프 센터 휠(chronograph center wheel)을 가리킵니다. 크로노그래프를 멈추었을 때, 인터미디에이트 휠 레버(intermediate wheel lever, 2)의 빅(beak, 부리)부분은 칼럼 휠(column wheel)의 위에 놓여 있습니다. 전체 레버(lever, 4)는 크로노그래프 센터 휠(5)로부터 인터미디에트 휠(4)을 지탱합니다. 인터미디에트 휠은 항상 4번휠로부터 동력을 받는 트랜스퍼 휠(3)과 함께 항상 맞물립니다.
 

 
보통과 다른 나사는(이전 사진의 6번)은 인터미디에이트 휠(intermediate wheel)과 크로노그래프 휠(chronograph wheel) 사이의 맞물림의 간격을 조정합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듯이, 반듯이 인터미디에트 휠(intermediate wheel, 1)과 크로노그래프 휠(chronograph wheel, 2) 사이의 맞물림을 최소한으로 닳도록 정확해야 합니다. 부드럽게 시작 기능과 멈춤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역시 브레이킹(braking) 기능도 적절하게 조절합니다.
 
  
 
위의 사진을 관찰한 바에 따르면, 칼럼 휠의 조정으로 크로노그래프 휠의 중단합니다. 두 칼럼(column) 사이로 브레이크 레버(brake lever, 2)가 들어갈 때, 레버의 반대쪽 끝이 크로노그래프 휠(3)을 중단시킵니다.
 
 
사진에서, 미니트 어큐물레이터 트립 핑거(minute accumulator trip finger, 1)가 크로노그래프 센터 휠(chronogrpah center wheel)에 접해있고, 트립핑거가 1회전 할 시 미니트 휠(2)의 톱니를 하나씩 옮깁니다. 아워 어큐물레이터(hour accumulator)는 미니트 휠로부터 떨어져 움직입니다.

 
위의 사진에서 미니트 어큐물레이터 스위칭 레버(minute accumulator switching lever)가 보입니다. 리셋-투-제로 기능이 되는 동안에, 센터 휠(center wheel)에서 미니트 휠(minute wheel)이 멀어지고, 미니트 휠의 트립 핑거(trip finger)도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레버의 축과 함께 움직입니다.(레버의 빅-beak-은 “길다란” 칼럼 휠 덮개 아래 숨겨져 있습니다.
 
 
인터미디에이트 휠의 변화와 미니트 어큐물레이터의 변화처럼, 기록장치(register)에 동일한 압력을 주어 조정역할 하는 리셋 투 제로 해머(reset to zero hammer)를 합니다.
 
2부에 계속...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감 수
공지 [공지] 매크로 먼데이 [39] TIM 2014.03.07 5638 11
Hot 이별과 새로운 시작 (5110G) [26] m.kris 2024.06.04 458 8
Hot [기추신고] Breguet Classique 7337 [33] 현승시계 2024.05.22 648 9
Hot 금주 시계모둠 🕑 [34] 현승시계 2024.04.27 1743 9
Hot 처음으로 직접 본 후지산 (with 5711) [29] m.kris 2024.04.20 702 4
1228 얼마전 자케드로 모델 투표(?)의 결과는! 충격의 반전이! [6] 북경타임 2014.12.19 601 0
1227 Goray의 strap들. [7] 행이 2008.06.01 601 0
1226 가죽줄의 계절이 슬슬 오고있는데 말이죵~ [20] pp 2007.09.27 601 0
1225 슬슬 날이 풀리네요. [5] file 영원한무브 2021.03.16 601 0
1224 SIHH -로져 듀비(Roger Buduis)- [9] 알라롱 2007.05.10 601 0
1223 점보 사진 공들여 리터칭 해봤습니다. [9] file GHETTONA 2022.09.05 600 6
1222 Nautilus 5711 [10] file soulfly 2023.06.16 600 3
1221 [Re:] 맥킨의 미네르바 컬렉션입니다 ^^;; (사진은 나중에 업뎃 하겠습니다) [25] 맥킨 2006.12.30 600 0
1220 중고 바쉐론 콘스탄틴 구매 질문드립니다. [9] 재찬 2016.09.19 600 0
1219 [스캔데이] AP당의 궐기를 위해~!~!~! (2) [10] file Bzbz 2014.05.16 600 4
1218 동리엇 호캉스 [16] file 클래식컬 2021.08.07 600 3
1217 메리 크리스마스 되세요^^ [8] file 석양 2012.12.24 600 0
» 제니스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410 1부 [6] 혁쓰 2007.10.11 600 0
1215 한적한 주말 오후 (PP 5296G) [1] file m.kris 2018.08.11 599 0
1214 고민중.... [15] 빨간당구공 2009.05.01 599 0
1213 오늘의 착샷...그리고... [6] file 샤크툰 2014.05.02 599 0
1212 바쉐론 디버클 A/S 관련 [6] godlyh 2016.08.05 599 0
1211 3월의 첫주는 RO 로 시작해볼려고 합니다. [12] file 네드베컴 2015.03.01 599 3
1210 [Re:] 추가 사진 Daniel Roth [2] 피란체 2010.04.21 599 0
1209 AP RO 15500 둘중에 하나만 남기려합니다. [11] file lhjmedi 2021.10.19 59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