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doc 1725  공감:38 2015.02.05 22:21

우리가 세상을 살다 보면...

 

괜시리 뭘 해도 신뢰가 가는 사람과뭘 해도 믿을 수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시계 브랜드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IWC_LOGO.jpg

 


여기 International Watch Company 국제 시계 회사라는 촌스러운 명칭의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엄청난 자신감을 가지고 몇 가지 만행이라 할 만한 짓을 자행해 왔긴 하지만...

 

예를 들면...

 

IWC 80110ETA 7750 논란이라던가...  

ETA 7750을 천만원에 판다던가...  

ETA도 모질라서 Sellita가 등장한다던가...

 

...써놓고 보니 좀 많군요...^^;

 

그래도 IWC에 대한 팬들의 신뢰감은 대단합니다.

 

옛날부터 전통적으로 ETA movement를 많이 써 왔던 회사로 IWCETA 수정 능력은 하늘에 닿을 정도로 궁극이라 IWCETA는 이미 ETA가 아니라 IHM 급이라는...

 

그러다 보니 IWC에 들어간 ETA 2892-A2의 추에는 금!이 섞여 있다는 얘기도 떠돌고...

 

https://www.timeforum.co.kr/Technical/88336

 

실천력이 뛰어나신 분들이 이런 도시전설을 직접 검증까지 하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에 대한 가치판단은 여기서 얘기할 바가 아니고...이런 의문을 한 번 가져보지 않으셨습니까?

 

도대체 왜! IWC는 이런 신뢰를 받고 있을까요? IWC는 같은 ETA를 사용 하더라도 In-House 급으로 수정이 되었다고 생각할까요?

 

브랜드의 가치와 팬들의 맹목적인 충성심 때문일까요?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브랜드의 가치가 높아도...팬들의 충성심이 높아도...뭘 하든-사실 뭘 하지도 않지만-ETA 무브의 수정에 대해 아무도 신경쓰지 않고 기대하지도 않고 실제로 별거 없는 브랜드도 있으니까요...^^;


panerai_opxi.jpg

(위 사진은 본문의 특정 내용과 아무 관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은 IWC Ingenieur 3508에 얽힌 IWC의 장엄한 도전과 장렬한 실패의 역사를 통해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이야기를 돌려 봅시다.

 

태초에 항자성 시계로 돋보이는 두 시계가 있었습니다.


comp_DSC_0010-01-1.jpg

 

PC-Percy.jpg


모두가 익히 잘 아시는 IWCIngenieurRolexMilgauss가 그들입니다.


02.jpg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시작은 미약하였지만 결국 마지막에 우뚝 선 오메가의 Railmaster가 더해집니다.

 

1950년대에 런칭 된 이 세 시계들은 Ingenieur80,000 A/m(1,000 gauss), Milgauss1,000 gauss, Railmaster900 gauss의 항자성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이 한결같이 1,000 gauss 언저리의 항자성 능력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당시의 기술적 한계 때문입니다.

4_IWC_Weicheisenkäfig-1024x1024.jpg

 

자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속칭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통상 연철로 만든 케이스로 무브먼트를 둘러싸는 것입니다.


5_Omega_Classic-solution-with-magnetic-shield-casing_0-1000-gauss-1024x549.jpg

    

이렇게 되면, 이 패러데이 케이지를 통해 자기장이 흐르기 때문에 안쪽의 무브먼트가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됩니다.

 

, 연철 케이스가 자기장을 차폐해서 방어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장이 무브먼트 쪽으로 향하지 않고 연철 케이스를 향하도록 길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연철 케이스를 아무리 두껍게 만들어도 항자성 효과는 큰 차이가 없게 됩니다.

 

이런 패러데이 케이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항자성 능력은 1,000 gauss 정도가 한계입니다.

 

결국 같은 툴 와치인 다이버들이 100m 남짓한 방수능력에서 1,000m, 2,000m까지 한계를 돌파하며 기술력을 어필했던 것에 반해 항자성 시계들은 1980년대 말까지 1,000 gauss에서 답보상태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Omega-Aqua-Terra-15000-Gauss-6.jpg


최근 오메가는 아쿠아테라(유감스럽게도 Railmaster 계보가 아닌!) >15,000 gauss를 통해 항자성의 마침표를 찍었는데요...


7_OMEGA-solution-with-non-magnetic-movements-1024x550.jpg

 

오메가가 1,000 gauss의 벽을 깰 수 있었던 것은 패러데이 케이지가 아니라 실리콘 헤어 스프링을 비롯한 무브먼트의 주요 부품을 소위 말하는 항자성체로 만들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4년도에 이루어진 이 놀라운 성과는 결코 첫 번째 시도가 아니었습니다.

 

패러데이 케이지를 넘어서는 위대한 첫 발은 1989IWC가 처음으로 디뎠던 것입니다.


  iwc-ingenieur-ref_1832-01.jpg


1989IWCIngenieur ref.3508을 발표합니다. 통칭 Ingenieur 500,000 A/m로 불리우는 Ingenieur 3508IWC cal.35790을 탑재하고 있었습니다.

 

ETA 2892-A2를 베이스로 하는 이 무브먼트는 사실 ETA 2892와는 전혀 다른 무브먼트였습니다.


3508-arm.jpg

 

이 무브먼트의 Escape wheel, Pallet fork, Roller는 항자성체로 만들어 졌으며, 가장 핵심적인 Balance springNiobiumZirconium의 합금으로 만든 항자성체였습니다.

 

설계만 ETA 2892를 따를 뿐 IWC cal.35790은 완전히 다른 무브먼트였던 것입니다.

 

IWC는 이 무브먼트를 통해 패러데이 케이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준을 아득히 뛰어넘는 500,000 A/m의 항자성력을 얻게 됩니다.


s143_4.jpg

 

약간 유치하지만...^^...IWC는 이 자랑스러운 성과를 Ingenieur 3508의 케이스에 새기게 됩니다.

 

IWC는 도전하였고 혁신하였으며 영광스러운 결과를 쟁취했습니다. 1,000 gauss의 벽을 제일 먼저 깨고 마침내 항자성의 Top에 등극했던 것입니다.

 

But, 그러나, 안타깝게도...이 이야기는 해피앤딩이 아닙니다...ㅠㅠ


90_39238_2.jpg

(이당시 IWC는 진짜루 ETA 2892에 21k 로터를 사용합니다...^^;) 

 

문제는 NiobiumZirconium의 합금으로 만든 Balance spring 이었습니다. 이 두 금속은 완벽하게 융합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에 극히 취약하게 되어버린 것입니다.

 

급격한 온도 변화에 엄청난 오차를 보이는 balance springIWC는 고심하였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WC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 봤지만, 유일한 해법은 각각의 balance spring을 하나하나 테스트 하여 그 온도 특성을 실험하고, 가장 적합한 것을 수작업으로 골라내는 방법 뿐이었습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IWC10만개의 balance spring을 생산하여 수작업으로 끈덕지게 테스트 하여 그 중 적합한 balance spring으로 약 2,700개의 Ingenieur 3508을 생산하였습니다.

 

생산 단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았으며, 결국 IWCIngenieur 3508의 단종을 선언합니다.


3521-chronometer.jpg

 

3508의 후속으로 Ingenieur 3521이 생산 되었으며 불완전한 무브먼트에 대한 반동현상과 IWC의 신뢰 회복을 위해 후속 무브먼트는 JLC 889가 선택되었으며 모든 논란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해 Ingenieur 3521IWC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외부기관의 공인-C.O.S.C-을 받게 됩니다. 

 

IWC Ingenieur 35213508의 실패(어디까지나 상업적실패입니다...)의 부산물인 것이죠...^^

 

IWC Ingenieur 3508 500,000 A/m...

 

상업적으로는 실패했지만 그 자체로 혁신적이며 위대한 도전이었던 이 역사적인 IWC의 작품은 현 세대의 의미 없는 In House Movement 열풍에 대한 경종이자 IWC의 수정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라는 것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시입니다.

 

누구나 구할 수 있는 ETA 에보슈로 자신들이 원하는 극한의 수정을 넣은 진짜 In House Movemant 를 보여 줬으니까요...

 

이런 IWC의 도전과 노력이 쌓이고 쌓여 오늘날 IWC의 수정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와 전설을 만든 것이 아닐까요?

 

참고로, 오메가 아쿠아테라 >15,000 gauss A/m로 환산하면 1,200,000 A/m 정도 되는데요...수치상 Ingenieur 3508500,000 A/m를 가볍게 넘어 서지만, 1989IWC의 한 managing directorIngenieur 3508MRI 기계에 실제로 넣어서 실험했을 때 3508은 놀랍게도 3,700,000 A/m의 자기장 안에서도 정상 작동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제 마음속의 항자성 Top은 아직까지는 Ingenieur 3508 이랍니다...^^


78dd511a-d15f-4eea-97e0-21dce522c8f4_seven_hundred.jpg

 

...이렇게 Ingenieur 3521C.O.S.C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내다 보니...본의아니게 3508 뽐뿌글이 된 것 같습니다...

 

누구...3508 하나 들이실 분 없나요? 예를 들면 kipai? ㅋ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감 수
공지 PROBUS SCAFUSIA [138] cr4213r 2008.12.09 17652 26
공지 IWC FORUM BASICS [150] cr4213r 2008.05.31 27787 14
Hot IWC 인제니어 크로노 구매겸 서비스 후기 (IWC3725-01) [12] johanlee 2024.03.26 1532 4
Hot 펠라톤 와인딩 오너들에게 드리는 제안 [16] mdoc 2024.02.28 2016 11
Hot 뉴 인제뉴어 삼인방! [26] darth vader 2024.02.13 2599 3
Hot iwc 부엉이 세븐데이즈 정식 오버홀 관련입니다. [2] 닌자7 2024.02.06 1066 1
13171 [] DAYTONA VS INGENIEUR : 다윗과 골리앗? [66] file kipai 2015.04.22 2282 55
13170 [] IWC Ingenieur...Fat or Skinny? [41] file mdoc 2015.01.31 1509 48
» [] Fat or Skinny 2....극한의 ETA 수정...IWC 3508 [42] file mdoc 2015.02.05 1725 38
13168 [] [내멋대로리뷰^^] IWC 3878 SPITFIRE Chronograph 사용기 [89] file 피라미더 2014.05.14 2668 34
13167 [Pilot's Watch] 이사하면서 시계공간을 꾸며봤습니다! [49] file 와뜨 2019.12.21 1821 31
13166 [] [득템신고+새해인사+외관리뷰] 마크17 어린왕자:Mark XVII Pilots Watch. Le Petit Prince Edition [66] file kipai 2015.02.19 1739 28
13165 [] IWC Mark 한정판 소장시계 3종류 소개 드립니다. [112] file Nicolass 2014.09.07 3623 28
13164 [] 마크12 크로노?????? [43] file 아라미스훈 2014.11.24 1287 27
13163 [Aquatimer] [내맘대로리뷰]_IWC_3568_아쿠아타이머_2000_사용기 [38] file RUGBY™ 2013.07.03 1987 27
13162 [] 오랜만에,,,,,, 아련한 나의 첫사랑 IWC.....(떠오르는 아떱씨 빠 looker39 님은 필히 봐 주세요..^^) [92] 컬렉터 2014.09.02 1392 26
13161 [Aquatimer] (기추 리뷰) 시계 시장의 격전지 다이버에서 Aquatimer [36] Erinies 2021.08.17 1512 25
13160 [Pilot's Watch] [국내최초 기추후기!] 영화와 함께 찾아온 BP TOPGUN 43 [51] file Erinies 2022.06.23 1571 24
13159 [] 1000 Islands 보트투어~ [57] file 메디치 2013.10.07 863 24
13158 [] 오랜만에 신형 인제니어 사진 찍어봤습니다:) [36] file kipai 2014.11.27 1185 21
13157 [Portugieser] 길고 긴 여정 - IWC3583 포르투기저 오토매틱 40 [29] file mdoc 2020.04.26 2808 20
13156 [Portugieser] IWC Cal.69000 에 관하여... [26] file mdoc 2018.09.12 1695 20
13155 [] 빅파일럿 끝판왕에 도전!!! - 어린왕자 PPC 개봉합니다. [99] file 바다의왕자 2014.09.20 2669 20
13154 [Portugieser] IWC Cal.9828로 주저리주저리... [30] file mdoc 2018.02.11 1904 18
13153 [Pilot's Watch] 재미로 읽어보는 iwc 파일럿 워치 핸즈 변화 [23] file 플레이어13 2016.07.03 1381 18
13152 [Portugieser] (기추 리뷰) ref.5441 맛보기 Portugieser 40 [37] file Erinies 2021.05.06 1870 17
13151 [Pilot's Watch] IWC3706, 타임포럼의 응원 덕분에 완성했습니다! [55] 밍구1 2018.11.14 1127 17
13150 [Pilot's Watch] 독일의 2차대전 공군 보급 시계를 알아보다. [29] file 플레이어13 2016.07.06 1666 17
13149 [] 이태리 여행~ (2) [67] file 메디치 2014.06.09 833 17
13148 [] 초가을의 Newport [58] file 메디치 2013.09.10 880 17
13147 [Pilot's Watch] 생애 첫 시계로 IWC MARK XX 구입한 이야기 [34] file MARKXX 2022.12.14 2909 16
13146 [Portugieser] 오래된 숙제를 이제야 끝냈습니다... [47] file mdoc 2018.01.28 1964 16
13145 [] [OME #5]파일럿 MARK XVII "어린왕자 에디션" : sense and sensibility [68] file kipai 2015.06.19 3631 16
13144 [] 캐나다 단풍 투어~ [64] file 메디치 2013.10.01 860 16
13143 [Pilot's Watch] 남자라면 빅파 아닌가요? [40] file 디오르 2020.07.21 1414 15
13142 [Pilot's Watch] 파일럿 스트랩에 대한 짧은 이야기 [20] file 플레이어13 2015.09.26 1185 15
13141 [] Miami 여행~ [57] file 메디치 2015.05.18 1095 15
13140 [] 컬트 클라우스씨와 함께 한 IWC 행사후기~^^ [22] file 아빠가 사준 돌핀 2014.10.09 782 15
13139 [] 나눠드립니다^^ [28] file 아게라본점 2014.02.09 665 15
13138 [] 늦여름의 뉴욕 [48] file 메디치 2013.09.02 1162 15